본문 바로가기
hidden story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출제 기준(2024.01.01.~2026.12.31.)

by 키리체스 2024. 2. 5.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출제기준(2024.01.01.~2026.12.31.)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출제 기준(2024.01.01.~2026.12.31.)
전기기능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기 기술 자격증.
과거에는 전기기기기능사와 전기공사기능사로 분리되어있었으나, 2004년에 전기기능사 하나로 통합된 이래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전기기능사(電氣技能士, Craftsman Electricity)로 시행되고 있다.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응시료 : 14,500원

직무
분야
전기전자 중직무분야 전기 자격
종목
전기기능사 적용
기간
2024.1.1.2026.12.31
직무내용 :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직무이다.
필기검정방법 객관식 문제수 60 시험시간 1시간
필기
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60 1.전기의 성질과
전하에 의한 전기장
1. 전기의 본질 1. 원자와 분자
2. 도체와 부도체
3. 단위계 등
      2. 정전기의 성질 및 특수현상 1. 정전기 현상
2. 정전기의 특성
3. 정전기의 특수현상 등
      3. 콘덴서(커패시터) 1. 콘덴서(커패시터)의 구조와 원리
2.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
3. 콘덴서(커패시터)의 연결방법과 용량계산법
4. 정전에너지 등
      4. 전기장과 전위 1. 전기장
2. 전기장의 방향과 세기
3. 전위와 등전위면
4. 평행극판 사이의 전기장 등
    2. 자기의 성질과
전류에 의한 자기장
1. 자석에 의한 자기현상 1. 영구자석과 전자석
2. 자석의 성질
3. 자석의 용도와 기능
4. 자기에 관한 쿨롱의 법칙
5. 자기장의 성질 등
      2. 전류에 의한 자기현상 1. 전류에 의한 자기장
2. 자기력선의 방향
3. 도체가 자기장에서 받는 힘 등
      3. 자기회로 1. 자기저항
2. 자속밀도 등
    3. 전자력과 전자유도 1. 전자력 1. 전자력의 방향과 크기 등
      2. 전자유도 1. 전자유도작용
2. 자기유도
3. 상호유도작용
4. 코일의 접속
5. 전자에너지 등
    4. 직류회로 1. 전압과 전류 1. 전기회로의 전류
2. 전기회로의 전압 등
      2. 전기저항 1. 고유저항
2. 옴의 법칙과 전압강하
3. 저항의 접속
4. 전위의 평형 등

    5. 교류회로 1. 정현파 교류회로 1. 교류 발생원의 특성
2. RLC직병렬접속
3. 교류전력 등
      2. 3상 교류회로 1. 3상 교류의 발생과 표시법
2. 3상 교류의 결선법
3. 평형 3상 회로
4. 3상 전력 등
      3. 비정현파 교류회로 1. 비정현파의 의미
2. 비정현파의 구성
3. 비선형 회로
4. 비정현파 교류의 성분 등
    6. 전류의 열작용과 화학작용 1. 전류의 열작용 1. 전류의 발열작용
2. 전력량과 전력 등
      2. 전류의 화학작용 1. 전류의 화학작용
2. 전지 등
    7. 변압기

1. 변압기의 구조와 원리 1. 변압기의 원리
2. 변압기의 전압과 전류와의 관계
3. 변압기의 등가회로
4. 변압기의 종류, 극성, 구조 등
      2. 변압기 이론 및 특성 1. 변압기의 정격, 손실, 효율 등
      3. 변압기 결선 1. 3상 결선 등
      4. 변압기 병렬운전 1. 병렬운전 조건 및 특성 등
      5. 변압기 시험 및 보수 1. 변압기의 시험
2. 변압기의 점검 및 보수 등
    8. 직류기 1. 직류기의 원리와 구조 1. 직류기의 개요
2. 직류기의 동작 원리 등
      2. 직류발전기의 종류 및 특성 1. 직류발전기의 종류 및 특성 등
      3. 직류전동기의 종류 및 특성 1. 직류전동기의 종류 및 특성 등
      4. 직류전동기의 이론 및 용도 1. 직류전동기의 유도기전력
2. 속도 및 토크 특성
3. 속도변동률 등
      5. 직류기의 시험법 1. 접지시험
2. 단선 여부에 대한 시험
3. 권선저항과 절연 저항값 등
    9. 유도전동기

1. 유도전동기의 원리와 구조 1. 회전원리
2. 회전자기장
3. 단상유도전동기의 원리 및 구조 등
      2.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및 용도 1. 3상 유도전동기 속도제어 원리와 특성
2. 유도전동기의 출력과 토크 특성 등
    10. 동기기

1. 동기기의 원리와 구조 1. 동기발전기의 원리 및 구조
2. 동기전동기의 원리 등
      2. 동기발전기의 이론 및 특성 1. 동기발전기 이론 및 특성에 관한 사항 등
      3.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1. 병렬운전에 필요한 조건
2.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법 등
      4. 동기전동기의 운전 1. 동기전동기의 운전에 관한 사항
2. 특수전동기에 관한 사항 등
    11. 정류기 및 제어기기 1. 정류용 반도체 소자 1. 정류용 반도체 소자의 종류
      2. 정류회로의 특성 1.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회로의 특성 등
      3. 제어 정류기 1. 제어 정류기에 대한 원리 및 특성 등
      4. 사이리스터의 응용회로 1. 사이리스터의 원리 및 특성 등
      5. 제어기 및 제어장치 1. 제어기 및 제어장치의 종류와 특성 등
    12. 보호계전기 1. 보호계전기의 종류 및 특성 1. 보호계전기의 종류
2. 보호계전기의 구조 및 원리
3. 보호계전기 특성 등
    13. 배선재료 및 공구 1. 전선 및 케이블 1. 나전선
2. 절연전선
3. 기타 절연전선
4. 코드
5. 케이블 등
      2. 배선재료 1. 개폐기
2. 점멸스위치
3. 콘센트 및 플러그
4. 소켓류
5. 과전류차단기
6. 누전차단기 등
      3. 전기설비에 관련된 공구 1. 게이지의 종류
2. 공구 및 기구 등
    14. 전선접속 1. 전선의 피복 벗기기 1. 전선 피복 벗기는 방법 등
      2. 전선의 각종 접속방법 1. 단선접속
2. 연선접속
3.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4. 슬리브를 이용한 접속 등
      3. 전선과 기구단자와의 접속 1. 직선단자와 기구접속
2. 고리형 단자와 기구접속 등
    15. 배선설비공사 및
전선허용전류 계산
1. 전선관시스템 1. 합성수지관공사 방법 등
2. 금속관공사 방법 등
3.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방법 등
      2. 케이블트렁킹시스템 1. 합성수지몰드공사 방법 등
2. 금속몰드공사 방법 등
3. 금속트렁킹공사 방법 등
4. 케이블트렌치공사 방법 등
      3. 케이블덕팅시스템 1. 금속덕트공사 방법 등
2. 플로어덕트공사 방법 등
3. 셀룰러덕트공사 방법 등
      4. 케이블트레이시스템 1. 케이블트레이공사 방법 등
      5. 케이블공사 1. 케이블공사 방법 등
      6. 저압 옥내배선 공사 1. 전등배선 및 배선기구
2. 접지 및 누전차단기 시설 등
      7. 특고압 옥내배선 공사 1. 고압 및 특고압 옥내배선 등
      8. 전선 허용전류 1. 전선 허용전류 및 단면적 산정
2. 복수 회로 등 전선 허용전류 및 단면적 산정
    16. 전선 및 기계기구의
보안공사
1. 전선 및 전선로의 보안 1. 전선 및 전선로의 보안공사 등
      2. 과전류 차단기 설치공사 1. 과전류 차단기 설치공사 등
      3. 각종 전기기기 설치 및 보안공사 1. 각종 전기기기 설치 및 보안공사 등
      4. 접지공사 1. 접지공사의 규정 등
      5. 피뢰설비 설치공사 1. 피뢰설비 설치공사 등
    17. 가공인입선 및 배전선 공사 1. 가공인입선 공사 1. 가공인입선의 굵기 및 높이 등
      2. 배전선로용 재료와 기구 1. 지지물, 완금, 완목, 애자 및 배선용 기구 등
      3. 장주, 건주(전주세움) 및 가선(전선설치) 1. 배전선로의 시설
2. 장주 및 건주(전주세움)
3. 가선(전선설치)공사 등
      4. 주상기기의 설치 1. 주상기기 설치공사 등
    18. 고압 및 저압
배전반 공사
1. 배전반 공사 1. 배전반의 종류
2. 배전반설치 및 접지공사
3. ·변전설비 등
      2. 분전반 공사 1. 분전반의 종류와 공사 등
    19. 특수장소 공사 1. 먼지가 많은 장소의 공사 1. 폭연성 분진 또는 화약류 분말이 존재하는 곳의 공사
2. 가연성 분진이 존재하는 곳의 공사
3. 기타공사 등
      2. 위험물이 있는 곳의 공사 1. 위험물이 있는 곳의 공사 등
      3. 가연성 가스가 있는 곳의 공사 1. 가연성 가스가 있는 곳의 공사 등
      4. 부식성 가스가 있는 곳의 공사 1. 부식성 가스가 있는 곳의 공사 등
      5. 흥행장, 광산, 기타 위험 장소의 공사 1. 흥행장, 광산, 기타 위험 장소의 공사 등
    20. 전기응용시설 공사 1. 조명배선 1. 조명공사 등
      2. 동력배선 1. 동력배선공사 등
      3. 제어배선 1. 제어배선공사 등
      4. 신호배선 1. 신호배선공사 등
      5. 전기응용기기 설치공사 1. 전기응용기기 설치공사 등

 

전기기능사는 CBT로 평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2016년 이후의 기출문제는 찾기가 어렵습니다.

CBT복원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학원 및 교제를 만드는 곳에서 그문제를 독점하다 싶이 하고 있어서 인터넷을 뒤져도 2016년 이후의 기출문제는 구하기가 어려운 실정 입니다.

2023년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합격률
회차 접수인원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1 17,173 13,600 5,129 37.7%
2 18,373 14,460 4,969 34.4%
3 20,140 15,210 5,127 33.7%
4 22,479 16,969 5,817 34.3%
종합 78,165 60,239 21,042 34.9%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합격률은 2023년 기준 34% 정도로 매우 낮은 실정 입니다. 그만큼 합격하기도 어렵다는 뜻이겠죠?

만약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을 응시하신다면 인터넷에 떠도는 2016년 이전의 기출문제를 풀어 보는 것 보다. 2023년 부터 2019년 까지의 5개년 이상의 문제가 정리된 교제를 구매하여 풀어 보시는 것을 적극 추천 드립니다.

 

저 역시 2016년 이전의 기출문제를 풀고 시험을 봤을때 50점도 받지 못하였고, 2023년 부터 과거로 문제를 풀어 시험 공부를 했을때 60점을 넘겨 필기시험에 합격 할수 있었습니다.

 

부디 2024년에는 적극적인 투자와 꾸준한 노력으로 시험에 합격하시길 기원 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