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dden story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출제 기준(2024.01.01.~2026.12.31.)

by 키리체스 2024. 2. 6.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출제기준(2024.01.01.~2026.12.31.)

전기기능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기 기술 자격증.
과거에는 전기기기기능사와 전기공사기능사로 분리되어있었으나, 2004년에 전기기능사 하나로 통합된 이래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전기기능사(電氣技能士, Craftsman Electricity)로 시행되고 있다.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응시료 : 106,200원

직무
분야
전기전자 중직무분야 전기 자격
종목
전기기능사 적용
기간
2024.1.1.2026.12.31
직무내용:
전기설비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직무이다.

수행준거:
1. 전기설비공사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2. 전기설비와 관련한 배관배선공사 및 자동제어 배선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3. 전기공사 완료 후의 시험 검사 업무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측정 및 점검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실기검정방법 작업형 시험시간 5시간 정도

 

실기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전기
설비
작업
1. 전기설비공사 1. 전기공사
준비하기
1. 전기공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공사 도면을 이해할 수 있다.
2. 전기공사 수행을 위한 필요 자재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3. 전기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공구를 용도에 맞게 준비할 수 있다.
    2. 전기배관
배선하기
1. 배관, 배선 공사를 위해 전선관 및 전선을 원하는 사이즈로 재단할 수 있다.
2. 배관, 배선 공사를 위해 도면을 이해하고 금속관, PVC관 배관을 할 수 있다.
3. 전기배선을 위해 전선 접속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3. 전기기계기구
설치하기
1. 각종 장비의 매뉴얼에 따라 해당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2. 설계도면에 따라, 선로의 시공의 적합성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3. 기기의 설치 위치 및 관로의 구성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판단할 수 있다.
    4. 전동기제어
및 운용하기
1. 시퀀스 원리를 활용하여 작업지침서에 따라 시퀀스 회로를 완성하고 제어용 기기(전자접촉기 등)를 설치할 수 있다.
2. 전동기 정회전, 역회전 원리를 기초로 작업지침서에 따라 전동기 단자에 전원선을 연결할 수 있다.
3. 전동기 기동원리를 기초로 작업지침서에 따라 전동기 기동장치를 설치 및 기동 운전할 수 있다.
4. 전동기 운전조건을 활용하여 운전지침에 따라 전동기를 기동하고 정지할 수 있다.
5. 전동기 정격운전 조건을 기초로 하여 전동기 운전지침에 따라 전동기 운전 값을 계측, 기록, PC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5. 전기시설물의
검사및 점검하기
1. 계측기를 활용하여 지정된 운전정격 값에 따라 운전 값(전압, 전류, 역율, 전력 등)을 측정할 수 있다.
2. 계측된 값을 활용하여 운전 지침에 따라 운전 값을 기록, 저장, 컴퓨터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3. 계측된 값을 활용하여 정상 운전 값에 따라 계측된 값을 비교하여 기록할 수 있다.
4. 운전지식을 활용하여 운전 지침에 따라 전력시설물을 정지 또는 가동시킬 수 있다.

 

전기기능사는 실기는 회로도 구성과 제어판을 제작하는 형태로 실기시험이 치뤄 지고 있습니다.

2023년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합격률
회차 접수인원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1 5,762 5,558 3,874 69.7%
2 6,261 6,075 4,420 72.8%
3 6,784 6,567 4,738 72.1%
4 8,538 8,213 5,988 72.9%
종합 27,345 26,413 19,020 72.0%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합격률은 2023년 기준 72% 정도로 매우 높은 실정 입니다. 실기시험이 쉽다는 뜻으로 비춰 질수도 있는데요~ 합격률만 따져 쉽다 어렵다를 따지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보여집니다.

합격률이 매우 높은 이유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의무검정으로 전기기능사 시험을 보기 때문으로 합격률이 높은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필기를 면제 받고 실기시험만 응시하여 학교에서 몇날 몇일을 교육받아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합격률이 높은편 입니다.

 

만약 일반인들 기준으로 볼때는 30% 정도도 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지는 어려운 시험이라고 봅니다.

실기시험은 한국인력관리공단에서 공개한 18개의 문제를 기초로 약간의 변형을 통한 실기평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혹시 실기시험을 준비하신다면 공개 문제를 10번씩 제대로 연습하여 실기시험을 치룬다면 합격 하실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출제 기준(2024.01.01.~2026.12.31.)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출제 기준(2024.01.01.~2026.12.31.)

국가기술자격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출제기준(2024.01.01.~2026.12.31.)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기 기술 자격증. 과거에는 전기기기기능사와 전기공사기능사로 분리되어있었

bowling-love.com

 

댓글